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슈주 김희철, 충격 비밀 밝혀.."팬들이 알면 슬퍼해"

김희철이 방송에서 팬들에게 공개하지 않았던 아픈 과거를 고백하며 교통사고로 장애인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12일 SBS '미운 우리 새끼'에서 김희철은 김종민과 함께 신점을 보러 가던 중, 자신이 겪은 교통사고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 당시의 아픈 상황을 되돌아보았다.

 

이날 방송에서 김희철은 무속인에게 "20대 때 큰 고비가 있었다"고 언급되자, 그가 말한 고비가 바로 2006년 슈퍼주니어 활동 당시 겪은 교통사고임을 고백했다. 김희철은 "그때 교통사고가 크게 났다"며 사고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설명했다.

 

2006년, 김희철은 슈퍼주니어 활동 중 동해의 부친상을 조문하기 위해 서울로 향하던 중 사고를 당했다. 김희철은 동해와 함께 조문을 마친 후, 서울로 돌아가는 길에 운전 중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김희철은 고속도로에서 차량 전복 사고를 당해 큰 부상을 입었다. 사고는 그가 운전 중 과속을 하던 중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고 직후 김희철은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그 후 대퇴부 골절과 발목 골절로 전치 12주의 부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희철은 사고 후 대퇴부와 발목 골절로 인해 철심 7개를 박는 대수술을 받았으며, 의사들은 그가 춤을 추지 못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다행히도 수술을 받은 후 점차 회복되어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다. 김희철은 이 사고로 인해 지체장애 4급 판정을 받았지만, 당시 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다.

 

김희철은 이 사고에 대해 팬들에게 말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팬들이 내가 장애 판정을 받았다고 하면 슬퍼할까 봐 말하지 않았다"며, "내 몸이 아픈 걸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그는 "어디서도 이야기한 적 없는데, 내가 원래 장애인 등급이다"라고 털어놓았다.

 

 

 

 

김희철은 그 후에도 "자동차 장애인 스티커를 매니저와 받으러 갔지만, 그때 ‘아니다. 내가 더 활발히 살아야지’라고 생각하며 스티커를 받지 않고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고를 극복하려는 마음으로 "극복하면 된다고 생각했고, 이제는 10년이 지났다"고 전했다.

 

김희철의 어머니는 당시 사고를 회상하며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어머니는 "동해 부친상을 조문하러 가다가 사고를 당했을 때 지금 생각해도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 또한 김희철이 사고 후 "무대에 서면 다리가 아프다"고 토로하며, "뼈가 으스러지고 대퇴부가 나가 철심을 박았다"고 전했다.

 

현재 김희철은 슈퍼주니어의 멤버로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그룹 활동 외에도 예능 프로그램에서 꾸준히 얼굴을 비추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운 우리 새끼'와 같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서 그의 진솔한 이야기를 전하며, 팬들과 더욱 가까운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김희철은 여전히 무대에서 뛰어난 춤과 예능감을 보여주며 팬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으며, 그가 겪었던 사고와 장애 판정을 이겨낸 모습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김희철은 이번 방송을 통해 교통사고로 인한 아픈 과거와 그로 인한 장애인 판정을 고백하며 팬들과의 깊은 신뢰를 쌓았다. 그동안 자신이 겪은 어려움을 숨겨왔던 김희철은 팬들에게 그의 진심을 전하고, 자신이 극복한 고통을 이해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