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15살 아이들을 성상품화?" MBN '언더피프틴' 방송 강행에 129개 단체 분노 폭발

 여성·언론·교육·인권 등 129개 시민사회단체가 2025년 3월 26일 서울 중구 MBN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만 15세 이하 아동이 참여하는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피프틴'의 방송 중단을 강력히 요구했다.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기다움을 잃지 않고 고유한 속도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스쿨미투 대응팀장은 MBN이 지난 21일 "사회 각계의 의견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한 발언을 언급하며 방송 취소를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단체들은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에 '여성 아동 착취'에 대한 책임 인정과 제작·홍보 전면 중단, 이미 제작된 방송분의 완전 폐기를 요구했다. 또한 MBN에는 방송 계획 즉각 철회를, 방송통신위원회와 여성가족부에는 아동·청소년 대상 오디션·연예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기준 수립과 성적 대상화 및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3월 31일 첫 방송을 앞둔 '언더피프틴'은 티저 영상이 공개된 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 아이돌 산업의 여성 아동 대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어린 참가자들의 외모와 신체를 강조하는 방식과 과도한 노출, 선정적 안무 등이 주요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는 3월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강행 의지를 고수했다. 제작사 측은 "참가자들의 꿈을 존중하는 프로그램"이라며 "부적절한 표현이나 연출은 수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대응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는 거리가 있다고 비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김지연 부위원장은 "교사로서 15세 이전에 성공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꿈을 이루기 위해 가혹한 기준에 자신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고 청소년들에게 말해주고 싶다"며 "오히려 불합리한 기준에 맞서 비판하고 저항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과 함께 계속해서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K-팝 산업이 성장하면서 아이돌 지망생의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오디션 프로그램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동·청소년 보호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시켰다. 시민단체들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권이 산업적 이익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며 정부 차원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 봄바람 타고 가오슝으로! 직항 재개, 대만 관광객 '정조준'

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27일, 제주관광공사는 티웨이항공이 제주-가오슝 직항 노선을 주 4회(화, 목, 토, 일) 운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제주항공이 운항하던 이 노선은 2019년 10월 운항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었다.직항 노선 재개 소식에 발맞춰, 제주관광공사는 대만 가오슝 현지 여행업계 관계자들을 제주로 초청, 팸투어를 진행하며 적극적인 유치 활동에 나섰다. 25일부터 5일간 진행된 팸투어는 제주의 봄을 만끽할 수 있는 다채로운 코스로 구성되었다.참가자들은 유채꽃이 만발한 산방산, 푸른 바다를 가르는 가파도 자전거 투어, 낭만적인 차귀도 요트 체험,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성산일출봉 등 제주의 대표적인 봄철 관광 명소를 방문했다. 또한, 신비로운 숲 곶자왈,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회수다옥의 차(茶) 체험 등 웰니스 관광 코스를 통해 제주의 색다른 매력을 경험했다.제주관광공사는 이번 팸투어를 통해 대만 현지에 제주의 봄을 알리고, 새로운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는 기회로 삼았다. 특히, 작년 한 해 15만 명이 넘는 대만 관광객이 제주를 찾은 만큼, 이번 직항 노선 재개는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대만은 제주 관광 시장의 핵심 타겟 중 하나"라며, "K-POP, 드라마 등 한류 열풍에 힘입어 제주만의 특색 있는 관광 자원을 적극 홍보하고, 대만 관광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제주-가오슝 직항 노선 재개는 단순한 항공편 운항을 넘어, 양 지역 간의 문화 교류와 경제 협력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는 앞으로도 대만을 비롯한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