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한은 금리 인하 포기..연준 금리 동결로 '원화 폭락' 고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 인하를 멈추면서, 한국은행도 향후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다음 달 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리를 한 차례 인하하더라도 이후 연속적인 금리 인하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연준은 28일(현지시간)과 29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연속적으로 금리를 인하했지만,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하에 제동을 걸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현재 경제는 강한 상황”이라며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를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도 금리 인하 결정을 더디게 만든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준의 금리 동결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후, 1월에는 동결을 결정했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확대되면 환율과 외환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한은은 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연준의 금리가 동결되면서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커졌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 인하에 대해 “경기 상황만 보면 금리를 내리는 것이 당연하다”면서도 “계엄 등 정치적 상황으로 원/달러 환율이 지나치게 오른 것을 고려해, 현재 금리 동결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 경제는 내수 부진과 건설투자의 저조한 성장 등으로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1.5%에서 1.4%로, JP모건은 1.3%에서 1.2%로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 

 

이와 같은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은 2월에 금리를 0.25%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미국의 금리 동결로 인해 한은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금리를 빠르게 내릴 경우 원화 가치 하락과 환율 급등을 초래할 수 있어, 한은은 통화정책을 신중하게 운영해야 할 상황이다.

 

전문가들 역시 연내 금리 인하가 두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미국의 금리가 빠르게 내리지 않는다면, 한국은행도 금리를 추가로 내리기에는 부담을 느낄 것"이라며 "올해 금리는 많아야 두 차례만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도 "2월부터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상반기 동안 두 차례 0.50%포인트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결국 한국은행은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을 면밀히 지켜보며, 금리 인하의 속도와 횟수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 경제는 저성장 고착 우려와 함께 환율 불안정성이 커지는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금리 인하가 경기 부양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