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평균 빚 5150만 원...전년 대비 0.7% 증가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3년 일자리 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2023년 12월 말 기준 직장인들의 평균 대출액은 5150만 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이 중 ‘중위대출’ 값은 5000만 원으로, 대출액의 중간 값을 나타내는 지표로, 1년 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대출 잔액 기준 연체율은 0.51%로, 전년 대비 0.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2년 0.43%에서 상승한 것으로, 2년 연속 연체율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로 평가된다.
대출액은 금리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022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3년에는 기준금리가 3.50%로 유지되었다. 특히, 정부가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은 소득 제한 없이 9억 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최대 5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도록 해 주택담보대출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 주택담보대출은 3.7%(73만 원) 증가하며 평균 대출액을 견인했다. 반면, 금리가 큰 영향을 미치는 신용대출은 5.4% 감소했고, 기타 대출도 4.0% 감소했다.
성별 대출액을 보면, 남성의 평균 대출액은 6377만 원으로 전년 대비 0.6%(41만 원) 증가한 반면, 여성의 평균 대출액은 3717만 원으로 1.1%(42만 원) 늘어났다. 남성의 대출액이 여성보다 약 2660만 원 더 많았지만, 양성 모두 대출액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2023년 금리가 유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관련 대출이 늘어나면서 성별 상관없이 대출이 증가한 결과로 해석된다.
연령대별 대출액을 보면, 40대가 7790만 원으로 가장 많은 대출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 뒤를 이어 △30대(6979만 원) △50대(5939만 원) △60대(3754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의 대출액은 전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70세 이상은 1.4% 증가했다. 반면, 29세 이하 청년층은 0.9% 감소한 1601만 원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은 금리에 민감하며, 주택을 소유한 비율이 낮아 대출을 받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유형별 대출을 보면, 아파트 거주자의 대출액이 6265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아파트 거주자의 대출은 전년 대비 0.3% 증가해, 전체 주택유형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오피스텔·기타(4556만 원), 연립·다세대(3977만 원), 단독주택(2993만 원) 거주자들은 대출액이 감소했다. 이는 아파트의 대출이 여전히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받으며 대출 증가를 이끈 결과로 보인다.
소득별 대출 규모를 보면, 소득이 많을수록 대출액이 높았다. 1억 원 이상 소득자는 평균 대출액이 1억 5703만 원에 달했으며, 7000만~1억 원 소득자는 1억 769만 원을 기록했다. 반면, 3000만 원 미만 소득자들의 평균 대출액은 2482만 원으로 가장 적었지만, 이들의 연체율은 13.2%로 가장 높았다. 연체율은 소득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소득 1억 원 이상 구간의 연체율은 0.08%로 매우 낮았다.
직장 규모에 따라 대출 차이도 나타났다.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7782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 근로자는 4299만 원으로 대기업 근로자의 55%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연체율은 중소기업 근로자가 0.82%로 대기업(0.28%)보다 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고, 대출 조건이 불리해 연체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직장인의 대출 증가와 연체율 상승은 금리 변동과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금리가 안정된 상황에서 정부의 대출 지원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연체율 상승은 여전히 가계부채 문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금리 인하와 함께 가계부채 관리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특히, 고금리 환경에서 대출을 늘린 직장인들의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도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