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삼성의 추락, "D램 시장 1위=SK하이닉스"

삼성전자가 1992년 이후 33년 만에 ‘D램 1위’라는 타이틀을 SK하이닉스에게 내줄 위기에 처했다. 이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에서 뒤처진 결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AI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삼성전자는 적시에 대응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시장 점유율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2022년 말 오픈AI가 챗GPT를 발표하면서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연산 요구가 급증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HBM 관련 기술 개발에서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비해 대응이 늦었고, 그로 인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된 것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2025년 1분기 D램 점유율 순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36%로 1위를 차지하며 삼성전자(34%)를 제쳤다. 마이크론은 25%를 기록했으며, 나머지 5%는 기타 기업들이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1년 전만 해도 37%의 점유율로 1위였지만,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이 큰 성장을 이뤘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삼성전자는 1992년 세계 최초로 64메가비트(Mb) D램을 출시하며 D램 시장의 강자로 자리잡았다. 1998년 256Mb D램 양산, 2000년대 초반 1기가비트(Gb) D램 개발 등으로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으며, 2010년대에는 모바일용 D램 시장에서 빠르게 LPDDR 시리즈를 상용화했다. 하지만 2020년대에 접어들며 상황은 달라졌다. 삼성전자는 2022년 HBM2E, 2023년 HBM3 양산에 성공했지만, SK하이닉스가 HBM3, HBM3E 제품을 더 먼저 시장에 공급하며 경쟁에서 앞서 나갔다. 특히 SK하이닉스가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우위를 점하며 시장에서 선두로 나섰다.

 

SK하이닉스는 작년 3월 HBM3E 8단, 4분기에는 HBM3E 12단 제품을 엔비디아에 공급했다. 또한, 2024년 3월에는 엔비디아에 HBM4 12단 샘플을 전달했다. 삼성전자는 3월 주주총회에서 HBM3E 12단 제품이 2분기 혹은 하반기부터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지만, 경쟁사의 기술 개발 속도가 더 빠른 상황이다. D램 업계의 성장은 AI 가속기 시장에 큰 영향을 받으며, 엔비디아의 AI 가속기가 발전하면서 HBM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4~2025년에는 블랙웰, 블랙웰 울트라와 같은 AI 가속기 모델에 HBM3e 192기가바이트(GB), 루빈 울트라에는 HBM4e 1테라바이트(TB)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HBM의 수요는 엔비디아 칩 성능에 비례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HBM4에서는 SK하이닉스가 빠른 개발 속도를 보이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HBM3e 일부 제품에서 발생한 발열 문제로 퀄리티 테스트를 거친 상태이며,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D램 시장의 향후 전망은 HBM4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올해 하반기 HBM4 개발 및 양산 준비를 마무리할 계획이며, 삼성전자는 HBM4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HBM4 개발을 위해 파운드리 사업부의 인력을 메모리 사업부로 전환 배치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HBM4의 핵심 부품인 로직 다이의 성능에 따라 시장 경쟁의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 HBM4 로직 다이에는 메모리 컨트롤, 신호 전송, 에러 검출 및 정정, 데이터 압축·해제 기능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HBM3e 8단 제품 양산을 극대화하며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경쟁사가 HBM 예약 판매 물량을 모두 소진한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공급 물량을 확대해 점유율을 방어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HBM4 개발에 성공할 경우, HBM3 생산을 중단하고 HBM4로 공정을 재편해 ‘초격차’를 목표로 기술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는 HBM 분야에서의 우위를 이어가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할 전망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 70%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AI 서버에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SK하이닉스는 향후 D램 시장에서도 선두를 지킬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생태계에 합류하려고 했으나, 1년 넘게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한 상황이다. 전영현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부회장은 HBM 시장을 놓친 이유로 ‘트렌드를 늦게 읽었다’고 인정하며, 차세대 HBM인 HBM4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경쟁에서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향후 HBM4 양산 성공 여부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꽃멍 필수! 희귀 식물 & 플로리스트 작품, 고양꽃박람회에서 힐링하세요

제17회 고양국제꽃박람회'는 '꽃, 상상 그리고 향기'를 주제로, 25개국 200여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28만㎡에 달하는 광활한 공간은 다채로운 꽃과 조형물로 가득 채워져, 방문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봄의 향연을 선사할 예정이다.이번 박람회의 야외 전시는 단순한 꽃 감상을 넘어, 상상력을 자극하는 다채로운 테마로 구성되었다. '꽃의 향기로 전해지는 문화', '꽃과 교감하는 상상의 정원', '지속 가능한 세상으로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주제 아래, 꽃과 예술, 문화가 어우러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주제 광장인 '꿈꾸는 정원'에는 높이 10m, 가로 폭 10m 이상의 거대한 '황금빛 판다' 조형물이 설치되어 시선을 사로잡는다. 꽃의 기운을 모아 온 세상에 희망을 전파하는 황금빛 판다는, 박람회의 랜드마크로서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인상을 남길 것이다.아이들을 위한 특별한 공간도 마련된다. 한울광장에서는 인기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 캐릭터 4종을 대형 조형물로 만나볼 수 있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즐거운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꽃빛, 물빛 그리고 노을빛 정원'은 메타세콰이아 가로수를 활용하여 아름다운 빛깔을 담은 포토존으로 꾸며져, 인생샷을 남기기에 완벽한 장소다.이 외에도 '꽃과 환상의 정원', '고양시민 가든쇼', '일상의 상상정원' 등 다양한 테마 정원이 조성되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꽃, 향기 그리고 물의 정원'에서는 라벤더 등 향긋한 허브류를 통해 힐링을 선사하며, '장미원'에서는 가장 먼저 피어나는 장미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고양시 300여개 농가에서 정성껏 재배한 200여종 10만 그루의 꽃들은, 야외 전시장을 더욱 화려하게 장식하며 방문객들의 눈을 즐겁게 할 것이다.실내 전시관은 화훼산업관과 화훼교류관으로 구성되어, 국내외 화훼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100여개 국내외 신품종과 우수 품종은 물론, 마다가스카르의 파키포디움, 인도네시아의 식충식물, 콜롬비아의 레인보우 장미 등 희귀하고 이색적인 식물들을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전시관 내부 벽면을 활용한 '숨 쉬는 실내정원'은 20m 높이의 수직 정원과 다양한 테마의 수평 정원으로 구성되어, 마치 열대 우림에 온 듯한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로비와 중앙홀에 조성되는 '입체정원'은 공중에 매달린 화려한 꽃 장식으로,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몰입감을 더할 것이다.특히 실내 전시관에서는 세계적인 플로리스트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글로벌 화예작가 작품전'이 열린다. 각종 월드컵과 세계대회에서 수상한 5인의 플로리스트들이 선보이는 화려하고 창의적인 작품들은, 꽃 예술의 정수를 보여줄 것이다. 이 외에도 고양국제플라워어워드쇼, 화훼예술 콘테스트, 정원 문화 포럼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일산호수공원 노래하는 분수대 인근에서는 고양 플라워 마켓이 열려, 고양 지역 33개 화훼 농가에서 재배한 싱싱한 꽃과 식물을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수변 무대에서는 고양시립합창단, 트로트 가수 나태주, SG워너비 김용준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펼쳐지며,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캐치! 티니핑' 퍼레이드, 8일 어버이날에는 김혜연, 김나희, 영기 등 트로트 가수 공연이 열려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것이다.수변 무대 주변에서는 수상 꽃 자전거 체험, 미술 체험, 바디 플라워 쇼, 플라워 데몬스트레이션, '난' 식물병원 상담소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방문객들에게 오감을 만족시키는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박람회장은 3호선 정발산역 1·2번 출구 또는 GTX-A 킨텍스역 2번 출구로 나오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GTX 이용객은 원마운트 앞 버스 정류장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임시 주차장 이용객을 위한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자세한 정보는 고양국제꽃박람회 홈페이지(www.flower.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양국제꽃박람회는 1997년 첫 개최 이후 877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며 대한민국 대표 화훼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국제꽃박람회는 화훼 축제와 산업 박람회가 결합된 국내 유일의 화훼 브랜드 박람회"라며 "많은 분들이 방문하셔서 아름다운 꽃을 만끽하고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이번 고양국제꽃박람회는 단순한 꽃 전시를 넘어, 꽃을 통해 희망과 행복을 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축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억 송이 꽃으로 피어나는 꿈과 향기의 세계로, 지금 바로 떠나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