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세뱃돈에 목숨 건 군중..캄보디아 재벌 행사서 4명 압사

설날을 맞이해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고가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3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재벌 속 꽁(78)이 주최한 세뱃돈 나눔 행사에서 군중이 몰려들며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을 입은 사고가 발생했다.

 

속 꽁은 23일 오전, 자택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4만 리엘(약 1만 4,000원)과 쌀 2㎏을 나누어주는 행사를 열었다. 이 행사는 캄보디아 전통에 따라 설날을 맞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자리였고, 최소 수백 명이 속 꽁의 자택 앞에 몰려들었다. 그러나 군중이 몰리면서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다. 일부 사람들이 밀려들고 넘어지면서 다수가 부상했고, 결국 남성 2명과 여성 2명이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이 사고로 부상자도 5명이 발생했다.

 

프놈펜 경찰은 즉시 현장에 출동해 군중을 해산시키고 행사를 중단시켰다. 경찰 관계자는 "사망자들은 대부분 건강에 문제가 있던 노인들로, 선물을 받기 위해 밀려들다 넘어졌다"고 전했다. 사망자들의 나이는 최소 37세에서 최고 71세까지 다양했다.

 

사고 후, 속 꽁은 프놈펜 주지사와 함께 사망자에게 1인당 1500만 리엘(약 533만원), 부상자에게는 400만 리엘(약 142만원)의 위로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현지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범죄 수사를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비극적인 사고에 대한 책임을 속 꽁에게 돌리지 않았다. 경찰은 사망 원인을 건강 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하며, 속 꽁은 단지 사람들을 돕고자 한 친절한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사고 당시 현장에는 질서나 조직적인 줄이 없었고, 단지 많은 사람들이 몰려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는 군중 관리의 미흡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행사에서의 안전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를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속 꽁은 캄보디아의 대표적인 재벌로 석유, 호텔, 카지노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훈 센 전 총리의 최측근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설날마다 세뱃돈을 나누는 전통을 이어왔고, 이번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했지만, 안타깝게도 그 좋은 의도와는 상반된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캄보디아에서는 설날을 맞아 부유한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세뱃돈을 나누는 풍습이 있다. 이와 같은 행사는 사회적 연대감을 조성하고 가난한 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의미를 가지지만, 군중이 몰려들 때는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대규모 인파를 수용하는 행사에 대한 안전 관리 방안이 더욱 철저히 마련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설 연휴 '텅 빈 국내 관광지'... '이곳'으로 몰렸다!

국내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는 평가다.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1월 24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어진 설 연휴 기간 동안 해외로 출국한 여행객은 총 217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하루 평균 21만 명이 넘는 수치로, 인천공항 개항 이래 최대 규모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수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5%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다.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목적지는 단연 일본이었다. 연휴 기간 동안 27만 6천여 명이 일본행을 선택했는데, 이는 전체 출국자의 약 13%에 해당하는 규모다. 엔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한국인들의 일본 여행 선호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23년 한 해 동안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882만 명에 달했다.반면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는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설 연휴 핵심 기간인 1월 25일부터 30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23만 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약 20% 감소한 수치다. 제주 관광업계 관계자는 "명절 특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방문객 수에 실망이 크다"고 토로했다.정부는 내수 진작을 위해 설 연휴 중 하루를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등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환율과 물가 등 경제적 요인도 있지만, 국내 관광 인프라와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해외여행 선호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국내 관광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관광 콘텐츠의 다양화와 서비스 품질 개선, 합리적인 가격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업계에서는 이번 현상을 단순한 일시적 트렌드가 아닌, 국내 관광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를 비롯한 주요 관광지들의 경우, 시설 개선과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