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美, 오락가락 관세 정책..캐나다 "보복관세" 계속 유지

캐나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추가 관세 면제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제품에 대한 일부 보복 관세를 계속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간의 자유무역협정(USMCA)에 적용되는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한 달 동안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는 4월 2일까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두 번째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 원) 규모의 1차 보복 관세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관세를 부과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새로운 유예 조치를 발표한 것에 따른 후속 조치로, 캐나다의 보복 관세가 일부 연기되었음을 의미한다. 도미니크 르블랑 캐나다 재무장관은 6일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이 캐나다산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중단하기로 하면서, 캐나다는 4월 2일까지 125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두 번째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만을 계속 제기하며, 미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보복 관세 부과는 여전히 유효한 상태로 유지됐다.

 

캐나다는 지난 4일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으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 정부는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7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했다. 이 중 30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제품에 대한 1차 보복 관세는 즉시 시행되었고, 나머지 125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는 3월 25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까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캐나다는 2차 보복 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를 비판하며, 모든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온타리오주 더그 포드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시행하고 철회하는 방식으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영구적으로 관세 위협을 철회할 때까지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온타리오주에서는 전력 요금을 25% 인상할 계획도 밝혀졌으며, 이는 미국으로 송전되는 전력 요금에 적용된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데이비드 에비 주지사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캐나다는 미국의 관세가 완전히 철회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상업용 트럭에 통행료를 부과하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임을 밝혔으며, 이는 추가적인 압박을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캐나다 시민들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분노를 표하며, 미국산 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 온타리오주 출신의 존 리드케는 "캐나다 국민은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분노하고 있으며, 다시는 미국에 가지 않겠다"고 말했다. 다른 시민들은 "미국의 관세는 불합리하고 타당하지 않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캐나다 국민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한편, 멕시코는 9일 부로 적용할 예정이었던 대미 보복 관세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멕시코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4월 2일까지 미국과의 무역에서 USMCA에 준수하는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이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앞으로도 미국과의 교역에 있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불만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완전한 관세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유예 조치는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유예 조치는 일시적인 것일 뿐, 4월 2일부터 본격적인 관세 부과가 시작될 것"이라며, "이는 상호관세 부과의 첫 단계일 뿐"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북미 무역 환경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안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보복 조치와 협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7만 7천원에 베트남 왕복? 11월 11일 단 하루, 역대급 '항공권 대란' 예고

고 찾아왔다. 이번 행사는 겨울철 대표적인 인기 휴양지로 떠오른 베트남으로의 여행을 계획하는 한국 여행객들을 겨냥한 것으로, 단 하루 동안만 진행되는 대규모 이벤트다. 최근 급증하는 베트남 여행 수요에 부응하고, 한국 고객들이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편리하게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항공사 측의 설명이다.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연말연시부터 내년 봄까지 이어지는 황금 여행 시즌의 항공권을 미리 저렴하게 확보하려는 '스마트 컨슈머'들의 치열한 예매 전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프로모션의 핵심은 비엣젯항공의 일반석(에코 클래스) 항공권을 최저 77,000원이라는 놀라운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공항세와 유류할증료가 모두 포함된 최종 금액으로, 프로모션 코드 'SUPER1111'을 입력하면 최대 100%에 달하는 할인율이 적용되는 방식이다. 예약은 11월 11일 단 하루, 비엣젯항공의 공식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Vietjet Air)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할인 항공권의 탑승 기간은 2025년 12월 1일부터 2026년 5월 27일까지로 넉넉하게 설정되었으나, 노선별로 세부 적용 기간은 다를 수 있어 예매 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여기에 더해, 2025년 12월 31일까지 베트남행 국제선 항공권을 예매하는 모든 승객에게는 31일간 사용 가능한 500MB 고속 데이터 eSIM을 무료로 제공하는 추가 혜택까지 마련되어 여행의 편리함을 더했다.비엣젯항공은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자사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다시 한번 과시한다. 현재 한국과 베트남을 잇는 최다 12개 직항 노선을 운항하며 여행객들에게 압도적인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인천), 부산, 대구 등 국내 주요 공항에서 출발해 베트남의 경제 중심지 호찌민, 수도 하노이는 물론, 대표적인 휴양지인 다낭, 나트랑, 푸꾸옥, 그리고 북부의 숨은 보석 하이퐁까지 주요 관광 도시를 구석구석 연결한다. 또한, 호찌민과 하노이를 거점으로 후에, 껀터, 달랏 등 매력적인 국내 도시로 환승하는 연계 항공편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단일 도시 방문을 넘어 베트남 전역을 효율적으로 여행하고자 하는 자유여행객들에게 최적의 선택지를 제공한다.단순히 저렴한 가격만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여행의 전 과정에서 만족스러운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포부도 엿보인다. 비엣젯항공 관계자는 최신 친환경 항공기 운영과 함께 쾌적하고 편안한 기내 서비스를 약속했다. 특히 기내에서 맛볼 수 있는 베트남 현지의 대표 미식 메뉴는 비엣젯항공만의 차별화된 강점이다. 따뜻한 국물의 쌀국수(포)부터 바삭한 바게트가 일품인 반미, 달콤쌉쌀한 연유커피까지, 하늘 위에서 미리 베트남의 맛과 멋을 즐길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따뜻하고 세심한 승무원들의 서비스가 어우러져, 한국 여행객들에게 단순한 이동을 넘어 여행의 일부로서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