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은 곧 죽는다!" 젤렌스키의 폭로

특히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의 야망이 우크라이나를 넘어 서방과의 직접적인 대결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푸틴은 종신집권을 원한다. 그의 야망은 우크라이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단결된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푸틴이 서방 동맹의 결속력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이를 분열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의 나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푸틴은 곧 죽을 것이다. 사실이다. 그러면 모든 것은 끝난다. 이것이 그가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푸틴보다 젊다. 내게 베팅하라. 내 전망이 더 좋다"라며 자신의 젊은 나이를 강조했다. 72세 고령의 푸틴 대통령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는 것은 "위험"하니 40대인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이다.

젤렌스키의 이번 발언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유지하면서도, 최근 합의된 흑해 휴전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미국이 압박을 강화해달라는 요구로 해석된다. 27일 파리 엘리제궁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지원 국제 정상회의 후 별도 회견에서도 그는 "푸틴이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유럽과 미국을 분열시키려 한다"라면서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 더 강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젤렌스키는 "러시아가 완전한 휴전안을 거부했을 때 미국이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어야 한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또한 러시아가 흑해상의 휴전을 위해 요구하는 대러 제재 해제를 유럽이 받아들일 경우 "매우 위험한 신호"를 보낼 것이라며 서방이 이를 수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최근 우크라이나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 중재로 진행된 협상을 통해 '흑해 휴전안'에 합의했다. 이 합의는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 보장과 에너지 시설에 대한 30일간의 상호 공격 중단을 핵심으로 한다. 그러나 러시아는 농산물·비료 수출 관련 제재 해제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요구했고, 미국이 이를 돕기로 하면서 새로운 갈등이 불거졌다.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가 해제된 이후에야 합의가 이행될 것이라며, 러시아 국영 농업은행과 농산물 수출 관련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풀고 이들 기관을 국제 결제시스템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 재연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수용할 수 없는 조건들을 내세우며 휴전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