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中, 관세 전쟁에 틱톡으로 응수..명품 브랜드들 '진땀'

 미중 간 관세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에서 촬영된 글로벌 고가 소비재의 제조 원가를 폭로하는 영상들이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영상들은 단순히 유명 브랜드의 가격 구조를 비판하는 수준을 넘어, 중국 정부 혹은 관련 단체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자 하는 여론전의 일환이라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틱톡(TikTok)과 엑스(X·구 트위터) 등 주요 소셜미디어에는 에르메스, 나이키, 룰루레몬 등 유명 브랜드 제품들의 제조 원가를 공개하는 영상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영상 속에는 중국 공장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면들과 함께 제품 생산 과정, 원자재 비용 등이 상세히 설명되며, 정가와 원가의 극단적인 차이가 강조된다. 이들 영상은 진위 여부에 대한 명확한 검증 없이 퍼지며 수백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13일 엑스에 게시된 영상에서는 초고가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의 버킨백이 중국 공장에서 1,395달러(한화 약 200만 원)의 원가로 생산되며, 실제 판매가는 3만8천 달러(약 5천4백만 원)에 이른다는 주장이 담겼다. 이 영상은 78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영상 속 한 중국 공장 관계자는 유창한 영어로 가죽과 부자재, 인건비 등의 상세 내역을 설명하면서 “버킨백 가격의 90%는 에르메스 로고 값”이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한 틱톡 인플루언서는 “미국에서 100달러 이상에 판매되는 룰루레몬 요가 레깅스가 사실 중국 공장에서 5~6달러에 만들어진다”고 폭로하며 “자재와 장인 정신은 거의 동일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룰루레몬 측은 “중국 본토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전체의 3%에 불과하다”며 “정품은 오직 공식 채널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와 관련해 다수 영상이 단순한 내부 폭로가 아닌,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중국산 제품의 원가 구조를 노출함으로써 고가 소비재 브랜드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이러한 콘텐츠는 틱톡을 통해 중국 OEM(위탁생산) 업체들이 직접 제품 판매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실제로 많은 영상이 “믿지 못할 가격에 직접 구매하라”며 웹사이트 주소와 연락처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중국에 대해 최대 145%에 이르는 고율 관세를 추가 부과하며 무역 전쟁을 재점화한 시점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콘텐츠들이 단순히 상업적 목적을 넘어서 미국 내 여론을 자극하고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만을 유도하려는 중국 측의 전략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중국 외교부 대변인과 주미 중국대사관은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게시물을 엑스를 통해 연이어 게재하고 있으며, 민관이 함께 여론전을 전개하고 있다는 의심을 사는 배경이 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도 관세 인상으로 인한 소비재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러한 중국발 콘텐츠에 대한 반응은 단순한 흥미를 넘어 공감까지 불러일으키는 양상이다.

 

블룸버그는 또한 “중국 공장에서 제품을 직접 구매한다고 해서 반드시 모든 관세를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 소비자들 역시 현재의 무역 정책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틱톡이 중국 크리에이터들이 미국 소비자들의 일상 속으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는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이전 문제와도 맞물려 더 큰 정치적 쟁점이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중국 내부에서도 반미 감정이 고조되며 ‘애국 소비’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 중국 내 온라인 공간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대신 샤오미, 화웨이, 비보 등 자국 브랜드 휴대전화를 사용하겠다는 영상들이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는 관세 전쟁과 맞물린 자국 산업 보호 심리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점점 더 소비자 수준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들이다.

 

SNS에서 핫한 그곳! 아름다운 농촌 인생샷 성지들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델로 평가된다.아름다운 풍경으로 '인생샷 명소'가 된 경관농업 현장들은 이제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봄이면 어김없이 전남 완도 청산도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인 '구들장논'에 26.5㏊(약 8만평) 규모로 조성된 유채꽃밭은 5월까지 만개해 매년 10만명에 이르는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는다.강원 삼척 근덕면 상맹방리 유채꽃밭(6㏊, 약 1만8000평)은 본래 기름 채취용으로 유채를 재배했지만, 길가에 핀 꽃을 보고 관광객이 모여들자 2002년부터 축제를 열기 시작했다. 지난해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9%가 재방문 의사를 밝혀 그 인기를 증명했다.한반도 '호랑이 꼬리'의 끝자락, 경북 포항 호미곶 해맞이광장 주변 지역 역시 경관농업의 성공 모델로 꼽힌다. 약 15만평(50㏊) 규모의 드넓은 유채꽃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말마다 15만명에 달하는 방문객이 찾아 명성이 자자하다. 본래 해풍으로 농사에 어려움을 겪던 땅이었지만, 포항시가 농민들을 설득한 끝에 2018년부터 유채를 심기 시작한 결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경관농업은 농업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며, 현재 50㏊ 규모의 단지를 100㏊(약 30만평)까지 확장할 계획임을 강조했다.강원 평창 봉평면은 이효석 작가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로, 매년 9월 '효석문화제'가 열리는 경관농업 명소다. 80여 농가가 47㏊(약 14만평)의 메밀꽃밭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난해 축제에 15만명이 다녀갔다. 꽃구경은 물론 메밀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이 더해져 품격 있는 지역 축제로 자리 잡았다.전북 고창에서 5월 11일까지 계속되는 '고창청보리밭축제' 역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다. 약 30만평(100㏊) 규모의 청보리밭은 바람이 불 때마다 초록 물결처럼 일렁이며 방문객들에게 '인생샷'을 남길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축제는 생태관광 분야에서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그 위상을 확고히 했다.지자체의 노력에 정부도 '경관농업직불제'로 힘을 보태고 있다. 경관작물 재배 농가에 소득 감소분을 고려해 1㏊당 경관작물 170만원, 준경관작물 10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 유채, 메밀, 코스모스 등 경관작물과 청보리, 쌀보리 등 준경관작물이 해당된다.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농업법인이 마을 단위 위원회를 구성해 신청할 수 있으며, 지역 축제·농촌관광 연계 계획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경관농업직불제가 가치를 높이고 농민 실제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관광객 증가 선 사례와 갈수록 농사짓기 어려운 고령농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지자체들도 경관농업으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관농업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