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잃어버린 꿈, 잃어버린 아이' 중국의 교육 시스템 비판

 어린 소년이 10층 아파트 옥상 난간에 앉아 있다가 옥상 아래로 한순간에 사라져 버렸다. 그 후에도 옥상은 여전히 고요하고 평화로웠다. 소년은 '자신이 되고 싶은 어른'이 되고 싶어 했지만, 주변에서의 자신은 실패한 '쓰레기'로만 여겨졌다. 그의 마음속에서는 '자신이 없어지면 가족들이 더 행복해질 것'이라 생각하고, 소년은 옥상으로 올라가 자신을 사라지게 했다. 

 

아버지는 언제나 소년을 '쓰레기 같은 놈'이라고 부르곤 했다. 소년도 종종 옥상에 올라가서 자신을 비난하며 소리를 지르곤 했다. 늘 동생과 비교당하던 그를 아버지는 '때릴 가치도 없는 녀석'이라며 포기하기에 이르렀고, 소년은 절망해 옥상으로 올라가게 됐다.

 

이런 줄거리를 담은 홍콩 영화 '소년일기'는 홍콩에서 호평받았는데, 실제 중국 청소년의 일상과 겹쳐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개봉 나흘 전에는 영화와 흡사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중국 후난성의 한 아파트에서 9살 된 소년이 옥상에서 추락한 이 사건은 전체적으로 영화 '소년일기'의 주인공과 매우 닮았다. 이 소식을 들은 네티즌들은 애도와 분노를 자아냈다.

 

9살 양 군의 사건은 영화 속 주인공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러한 비극은 매년 반복되고 있으며, 많은 청소년이 이런 식으로 세상을 떠나고 있다. 이는 교육 시스템이 청소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제를 던진다. 이런 교육 시스템을 비판하는 영화 외에도 책이 출간되고 있으나 변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이성계의 '거짓말'로 탄생한 산의 충격적 비밀... 전문가들 '경악'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남해의 금산(705m)은 조선 건국의 비밀이 담긴 산이다. 이성계는 이곳 보리암에서 왕이 되면 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파격적인 약속을 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약속은 결국 산 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넣는 것으로 대체됐다. 관음봉, 화엄봉, 일월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줄지어 있는 이곳은 특히 상사바위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이 압권이다. 금산산장 근처의 한 벤치는 '대한민국 최고의 컵라면 맛집'이라는 특별한 명성까지 얻었다.수도권의 대표 명산인 도봉산(740m)은 '푸른 하늘 깎아세운 만 길 봉우리'라는 시구처럼 장엄한 화강암 봉우리들이 하늘을 찌른다.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암릉은 등산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특히 구름이 산수화를 그리는 듯한 우중산행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촘촘한 등산로를 자랑한다.호남의 영산 무등산(1,187m)은 57년 만에 완전 개방되어 화제다. '견줄 데 없이 높다'는 뜻의 이름처럼 천왕봉(1,187m), 지왕봉(1,175m), 인왕봉(1,164m)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정상부가 압도적이다.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예로부터 남도민들의 신앙 대상이었다.경기도 제2의 고봉인 명지산(1,267m)은 '숨은 보석'으로 불린다. 청우산에서 시작해 대금산, 매봉산, 연인산으로 이어지는 70리 능선은 겨울 종주 코스의 명소다.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절해고도'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압도적인 풍경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