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관광

9일 연휴에 '전국 호텔 대란' 발생

 설 연휴를 앞두고 국내 관광업계가 특수를 맞이하고 있다. 정부가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31일 하루만 연차를 사용하면 최장 9일(1월 25일~2월 2일)의 황금연휴를 즐길 수 있게 된 것. 이에 따라 주요 관광지들의 예약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일찍이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강원도와 부산 지역의 인기가 뜨겁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경우 설악, 거제, 해운대, 경주 등 주요 지점의 객실이 설 연휴 기간 동안 이미 만실을 기록했다. 그중에서도 거제와 해운대 지점은 2월 1일까지 예약이 완료되어 추가 예약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켄싱턴호텔앤리조트의 강원 지역 시설들도 예년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작년 설 연휴와 비교해 예약 속도가 10% 이상 빨라졌으며, 특히 켄싱턴리조트 평창은 설 연휴와 평창 송어축제가 동시에 열리면서 예약률 90%를 돌파했다.

 


고급 호텔 체인인 조선호텔앤리조트 역시 예외는 아니다. 웨스틴조선부산, 그랜드조선부산, 그랜드조선제주 등 주요 지점들이 90%가 넘는 예약률을 기록 중이다. 롯데호텔앤롯데리조트 속초의 경우도 연휴 후반부인 27~30일에 예약률이 85%까지 치솟았다.

 

당초 업계에서는 긴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예상과 달리 국내여행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임시공휴일 지정이 연휴 직전에 결정되어 해외여행을 미리 계획하지 못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고환율로 인한 해외여행 부담과 경제적 요인도 국내여행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관광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연휴의 경우 장기간 휴가가 가능해 해외여행을 계획한 이들도 있지만, 다수의 가족 구성원이나 노약자가 있는 가정의 경우 접근성과 비용 면에서 국내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추세는 설 연휴가 다가올수록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풍수전문가가 극찬한 '봄꽃 명당'은 어디?

의 역사와 전설이 깃든 곳들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첫 번째 주인공은 한국인의 정서와 가장 깊은 인연을 맺어온 매화다. 매화는 그 개화 시기에 따라 독특한 이름이 붙는데, 일찍 피는 '조매', 추운 날씨에 피는 '동매', 눈 속에서 피어나는 '설중매'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전문가들은 순천 금전산과 금둔사의 '납월매' 6그루를 주목하고 있다. 음력 12월에 꽃을 피우는 이 특별한 매화는 일반 매화보다 한두 달 앞서 봄소식을 전한다.광양 매화마을은 약 99만㎡에 달하는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청매화, 홍매화, 능수매화가 어우러진 이곳에서는 1800여 개의 매실을 활용한 전통 발효식품도 만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매실 농가들의 정성이 깃든 고추장과 장아찌로도 유명하다.더욱 특별한 것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4대 매화다. 구례 화엄사의 '화엄매'는 3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두 줄기가 꼬인 채로 자라 신비로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순천 선암사의 '선암매'는 수백 년 된 20여 그루의 매화나무 중에서도 단연 으뜸으로 꼽힌다. 강릉 오죽헌의 '율곡매'는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손길이 닿았다는 점에서 문화적 가치도 높다. 장성 백양사의 350년 된 '고불매'는 그 희귀성으로 인해 더욱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봄꽃의 대미를 장식하는 것은 동백이다. 3월 말까지 이어지는 동백의 절정은 특히 강진 백련사와 고창 선운사에서 극적으로 드러난다. 백련사의 1500여 그루 동백나무 군락은 다산 정약용의 발자취와 함께 더욱 깊은 의미를 지닌다. 고창 선운사는 3000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대웅전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 장관을 이루는데, 이는 과거 산불로부터 사찰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다는 특별한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승우여행사는 이러한 봄꽃 명소들을 중심으로 특별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벚꽃과 산수유, 철쭉 등 시기별로 다양한 꽃 여행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