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매일

건강매일

비싼 다이어트약, 버려도 됩니다..의사가 극찬한 '이 과일'의 효능

 건강한 식단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섬유질, 그 중에서도 과일은 가장 이상적인 섬유질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인들이 즐겨 찾는 가공 스낵과는 달리, 고섬유질 과일은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면서도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주는 완벽한 식품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섬유질은 단순히 배변활동 개선뿐만 아니라 혈당 조절과 체중 감량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각각의 과일이 지닌 고유한 영양학적 가치다. 예를 들어 사과는 용해성과 불용성 섬유질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어 소화기능 개선에 탁월하다. 2015년 뉴트리션 저널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사과 껍질에 풍부한 폴리페놀 성분은 심장 건강 증진과 혈당 수치 안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베리류의 경우 한 컵당 무려 8그램에 달하는 풍부한 섬유질을 자랑한다. 특히 라즈베리에 함유된 케르세틴과 같은 항산화 물질은 면역력 강화와 항염증 효과를 제공한다. 최근 연구들은 라즈베리의 정기적인 섭취가 장 건강 개선과 규칙적인 배변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아보카도는 일반적인 과일과는 차별화된 영양 프로필을 보여준다. 섬유질은 물론 건강에 이로운 지방까지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포만감 유지와 심장 건강 증진에 탁월하다. 2022년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기적인 아보카도 섭취로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최대 22%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렌지와 키위는 비타민 C의 보고로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섬유질 함량도 상당히 높다. 특히 오렌지에 함유된 헤스페리딘이라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혈액 순환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제공한다. 키위의 경우 수용성과 불용성 섬유질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소화 건강에 특히 좋다.

 

무화과와 석류는 천연 단맛과 함께 풍부한 영양을 제공하는 과일이다. 무화과는 뼈 건강에 필수적인 미네랄이 풍부하며, 석류의 아릴(먹을 수 있는 씨앗)은 항산화 물질의 보고다. 두 과일 모두 건강한 디저트나 간식 대용으로 적합하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해 맛과 영양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설 연휴 '텅 빈 국내 관광지'... '이곳'으로 몰렸다!

국내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는 평가다.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1월 24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어진 설 연휴 기간 동안 해외로 출국한 여행객은 총 217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하루 평균 21만 명이 넘는 수치로, 인천공항 개항 이래 최대 규모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수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5%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다.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목적지는 단연 일본이었다. 연휴 기간 동안 27만 6천여 명이 일본행을 선택했는데, 이는 전체 출국자의 약 13%에 해당하는 규모다. 엔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한국인들의 일본 여행 선호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23년 한 해 동안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882만 명에 달했다.반면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는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설 연휴 핵심 기간인 1월 25일부터 30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23만 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약 20% 감소한 수치다. 제주 관광업계 관계자는 "명절 특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방문객 수에 실망이 크다"고 토로했다.정부는 내수 진작을 위해 설 연휴 중 하루를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등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환율과 물가 등 경제적 요인도 있지만, 국내 관광 인프라와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해외여행 선호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국내 관광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관광 콘텐츠의 다양화와 서비스 품질 개선, 합리적인 가격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업계에서는 이번 현상을 단순한 일시적 트렌드가 아닌, 국내 관광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를 비롯한 주요 관광지들의 경우, 시설 개선과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